이클립스에서 특정 파일 검색 : Open Resource [CTRL + SHIFT + R]
메이븐 포르젝트의 경우 target 디렉토리 포함되어 노출.
Open Resource에서 특정 파일/폴더를 제외하기 위해 해당 폴더 우클릭
Properties > Resource 에서 Derived 체크
이클립스에서 특정 파일 검색 : Open Resource [CTRL + SHIFT + R]
메이븐 포르젝트의 경우 target 디렉토리 포함되어 노출.
Open Resource에서 특정 파일/폴더를 제외하기 위해 해당 폴더 우클릭
Properties > Resource 에서 Derived 체크
JAD가 이클립스 마켓플레이스에 들어왔네요.
현재 사용중인 이클립스 버전
이클립스 > Help > Eclipse Marketplace에서 "decompiler" 를 검색 후 Install
여기까지 플러그인 설치 과정 끝.
필요에 따라 개인적인 환경 설정
결과 확인
작성 중인 java 소스에서 클래스 파일을 열면 해당 클래스의 소스 확인 가능.
또는, ctrl + shift + t 키를 눌러서 Open Type 창에서 클래스를 검색해서 소스 확인 가능.
생각을 정리할때, 마인드맵을 이용합니다. 지금까지 프리마인드를 이용하다 "이클립스 플러그인 형식 마인드맵이 없을까?"라는 생각이 들어 구글링을 해봤습니다. XMind 있더군요. 해서 설치를 해봤습니다. 30분 걸렸네요. 해서 정리를 해봤습니다. 저처럼 고생하지 말라고요. 이클립스를 사용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진행하며 해당 이클립스 버전은 "eclipse-jee-juno-win32-x86_64"입니다.
우선 XMind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해 XMind Portable Package를 다운 받습니다.
제가 다운 받은 버전은 "xmind-portable-3.3.0.201208102038.zip"입니다.
1. 압축을 풀고
2. Commons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data, plugins 폴더 전체를 복사해서
3. eclipse > dropins 하위에 xmind 폴더를 만들고 복사를 합니다.
4. 이클립스를 실행한다.
이클립스 > File > New > Other > Mind Map Workbook을 선택합니다.
원하는 템플릿을 선택합니다.
마인드맵 파일을 생성하고자 하는 디렉토리를 선택하고 하단의 File Name에 맵 이름을 입력합니다.
제 경우 이름 넣는 곳이 안보여 당황했답니다. ㅜㅜ
여기까지 왔다면 성공입니다. 다음부터는 마우스 우클릭으로 메뉴를 찾아가며 기존의 마인드맵 처럼 이용이 가능합니다.
문제는 처음 실행하고 나서 이클립스를 닫은 후 다시 이클립스를 실행할때입니다.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거든요.
(다른 문제 해결방법이 있겠지만...)
위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면 아래처럼 합니다.
eclipse.ini 파일을 열고 제일 상단에 -clean을 입력해주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제가 이클립스에서 마인드맵을 작성하는 것까지는 완료됐으나 다운받은 파일에서 Commons 파일 이외의 파일 내용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습니다. 다른 용도가 있겠지요.
또한 구글코드에 보면 xmind3이라는 프로젝트가 있습니다. 라이센스 확인하시구요.
lgpl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이클립스에서 마인드맵을 이용하고 싶은 분들이 계실 것 같아 잠시 정리했습니다. 이상.
(와우~ 4개월만에 작성한 포스팅)
org/eclipse/ui/internal/util/SWTResourceUtil
org.eclipse.ui.workbench_3.7.1.v20120104-1859\org\eclipse\ui\internal\util\SWTResourceUtil.class
eclipse-jee-indigo-SR2-win32\plugins\org.eclipse.ui.workbench_3.7.1.v20120104-1859.jar
파일의 압축을 풀고
org.eclipse.ui.workbench_3.7.1.v20120104-1859\org\eclipse\ui\internal\util\
하위에 아래 파일을 추가해서 다시 압축을 한다.
Window > Preferences > Java > Editor > Save Actions > Configure... > Code Organizing > Formatter
이클립스를 실행하고 > File > Export를 실행한다.
Select 창에서 Android > Export android Application을 선택한다.
Project Checks 창에서 Browse 버튼을 클릭하고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한다.
Keystore selection 창에서 (처음이니까) Create new keystore를 선택하고
Browse 버튼을 이용해서 저장 할 위치를 선택한다.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생성된 keystore와 비밀번호는 apk 파일을 만들때마다 사용된단다. 잘 관리해야겠지
앱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Validaty는 충분히 길게 잡는다.
그외 정보는 적당히 입력한다.
근데 Keystore selection의 비밀번호와 Key creation의 비밀번호 차이를 정확히 모르겠다.
대충... 위에것은 keystore에 대한거고... 아래것은 앱에 대한 것?? 모르겠다. ㅠ.ㅠ
apk 파일이 생성될 위치를 선택한다.
그리고 Finish
만들어진 apk 파일과 keystore 파일이다.
지금 안드로이드 앱 개발을 할때 사용하는 이클립스 버전은 Helios SR2 버전이다.
여기서 웹쪽 구글맵 매쉬업 프로젝트를 함께 사용중.
근데, 저장을 할때마다 에러가 난다.
처음엔 참고 사용했다. ㅠ.ㅠ
하지만 계속 참고 사용할 수가 없었다.
해서 해결책을 찾았다.
아주 간단하다.
Package Explorer 등에서 해당 프로젝트를 선택하고 마우스 우클릭 > Properties > Builders에서
JavaScript Validator의 체크를 해지하면 된다.
기본 실행화면
선택한 패키지
설치 과정
앱 에 관심이 있는터에 좋은 글을 발견 했네요 감사합니다.
그런대 위 설치 과정중 <C:\android\ide\android-sdk_r07-windows 하위에 temp라는 디렉토리가 만들어집니다.> 에서 < android-2.2_r02-windows.zip이라는 다운 받고 다운이 완료되면 해당 파일을 압축을 풀어서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을 시킵니다. >
라고 하셨는데, android-2.2_r02-windows.zip 파일은 따로 다운을 받아야 하나요?
아니면 설치 과정중 자동으로 temp 에 다운 되는 파일 인가요???
여하튼 좋은내용 글 감사 합니다~
VisualStudio만 사용하다가 Eclipse를 만나니 여간 낯선게 아니었는데 덕분에 기존 SVN을 잘 활용할 수 있겠네요 ㅎㅎ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