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녁식사 전 해가 질 무렵, 멋진 하늘 사진을 찍고 싶었습니다. 그동안 "조리개를 조이면 셔터속도가 느려진다"와 같은 기본적인 것 조차 생각하지 않고 사진을 찍었다는게 "참 미련스럽다"는 생각마저 드네요. 근데 아직... 같은 양의 빛을 받을때 조리개를 개방하고 셔터속도를 올릴때와 조리개를 조이고 셔터속도를 느리게할때 사진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네요. 설명을 한번 듣기는 했는데 듣지않았을때와 별반 차이가 없군요.
조리개 수치가 작다 = 조리개 구경이 넓다 = 빛이 많이 들어온다 = 조리개를 개방한다
조리개 수치가 크다 = 조리개 구경이 좁다 = 빛이 적게 들어온다 = 조리개를 조인다
조리개를 개방할수록 심도는 얕아진다. 조리개를 조일수록 심도는 깊어진다.
(심도가 깊다 = 넓은 범위가 선명, 심도가 얕다 = 특점 범위만 선명)
해질녘 하늘 : 제가 바라본 하늘과 카메라에 담긴 하늘의 색깔이 어쩜 이렇게 차이가 나는건지 모르겠네요.
-
소나기 2008.07.22 00:05
" 같은 양의 빛을 받을때 조리개를 개방하고 셔터속도를 올릴때와 조리개를 조이고 셔터속도를 느리게할때 사진에는 어떤 변화가 있는지조차 모르고 있네요. "
저의 얕은 지식으로 조금 이야기 해보겠습니다.^^
결과물을 놓고 봤을때는 원경에서는 조리개를 조여주면 사진의 선예도가 올라갑니다.
구름과 같은 움직이는 피사체의 경우 역동적인 사진을 연출하기도 합니다.
조리개를 개방하면 셔속이 올라가니 빠른 피사체나 광량이 충분하지 않을 때 사용하죠.^^
근경에서는 심도 차이가 있겠지요.^^ -
다우미짱 2008.07.22 20:21
조리개 수치가 작다 = 조리개 구경이 넓다 = 빛이 많이 들어온다 = 조리개를 개방한다
조리개 수치가 크다 = 조리개 구경이 좁다 = 빛이 적게 들어온다 = 조리개를 조인다
조리개를 개방할수록 심도는 얕아진다. 조리개를 조일수록 심도는 깊어진다.
무슨 주문인것 같음...
이번 여행때 사진을 많이 찍긴했는데 정말 제눈같지 않았어요
디카라 관계없는줄 알면서도 뚫어져라 보고 또 보고 갑니당~ -
-
모노로리 2008.07.23 00:34
하늘을 바라보면 정말 거대하고 숨이 막힙니다
오늘 저희집 옥상에서 보고 느낀점을 여기서 댓글로 적게되네요 ㅎㅎ
비 그친 후 옥상에서 간만에 하늘을 봤어요 ^0^ -
-
-